◆◆◇ 고혈압, 짜게 먹으면 더 심해진다?
고혈압은 현대인을 괴롭히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 중 하나입니다. 혈압이 높아지면 심장, 뇌, 신장 등 주요 장기에 부담을 주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그렇다면 고혈압과 소금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?
◆◇ 소금, 혈압의 주범?
1. 소금의 주성분인 나트륨은 혈압을 높이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.
2. 나트륨 섭취 증가 → 혈액량 증가 → 혈압 상승
- 우리 몸은 혈액 속 나트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.
- 짠 음식을 많이 먹으면 혈액 속 나트륨 농도가 높아지고, 이를 희석하기 위해 몸은 물을 더 많이 저장하게 됩니다.
- 혈액량이 증가하면 혈관 벽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져 혈압이 상승하게 됩니다.
3. 나트륨, 혈관 수축 유발:
나트륨은 혈관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하여 혈압을 높입니다.
◆◇ 고혈압 환자, 소금 섭취를 줄여야 하는 이유
- 혈압 조절: 소금 섭취를 줄이면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.
- 고혈압 합병증 예방: 심혈관 질환, 뇌졸중 등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위험을 낮춰줍니다.
- 약물 효과 증대: 고혈압 약물과 함께 저염식을 병행하면 약효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.
◆◇ 얼마나 싱겁게 먹어야 할까요?
하루 소금 섭취량: 세계보건기구(WHO)에서는 성인의 하루 소금 섭취량을 5g 이하로 권장합니다.
저염식 실천하기:
- 가공식품 섭취 줄이기
- 외식 시 싱겁게 조리 부탁하기
- 음식을 직접 만들 때 소금 대신 다양한 양념 활용하기
- 김치, 장아찌 등 짠 음식 섭취 줄이기
◆◇ 소금 대신 무엇을 먹으면 좋을까요?
- 칼륨이 풍부한 식품: 칼륨은 나트륨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. (바나나, 딸기, 아보카도, 시금치 등)
- 마그네슘이 풍부한 식품: 마그네슘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. (견과류, 통곡물, 녹색 채소 등)
◆◇ 마무리하며
고혈압은 생활습관병으로, 식단 관리만으로도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. 싱겁게 먹는 습관을 들이고,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여 건강한 삶을 누리시길 바랍니다.
주의: 위 내용은 일반적인 건강 정보이며,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적용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. 질병이 의심될 경우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세요.
끝.
'병과 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키위의 단맛, 당뇨 환자에겐 독인가? (9) | 2024.10.05 |
---|---|
당뇨병 환자, 시원한 수박 안전할까요? (5) | 2024.09.27 |
고지혈증 환자, 아몬드 먹어도 될까요?? (4) | 2024.09.27 |